본문 바로가기
국내 이슈논평

📌 [국내 이슈 논평] 미국, K-조선에 ‘LNG선·함정·MRO 425조 시장’ 개방… 글로벌 패권 구도 속 기회 포착(2025년 4월 11일 기준)

by andy169 2025. 4. 11.
반응형

1. 사건 개요

미국이 중국을 겨냥한 해양 패권 재건 전략을 본격화하면서, 한국 조선업계가 중장기 수주 기회의 중심축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해외 선박 구매 가능성을 처음 공식 언급하며, 미국 내 '존스법(Jones Act)' 등의 해운 보호규제가 완화될 경우 한국 조선사에 총 426척의 LNG선 수주, 425조 원 규모의 해군 MRO 시장이 열릴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2. 주요 내용 정리

▪ 미국, ‘해양 패권 재건’ 선언과 법 개정 추진

  • 1920년 제정된 '존스법'은 미국 내 해운 수요를 자국 건조 선박으로 제한했으나,
    동맹국 참여 허용 법안(선박법, 해군준비태세법)이 발의되며 규제 완화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음.
  • 트럼프 대통령은 “해외 조선업체에서 함정을 구매할 수 있다”는 발언을 통해 정책 기조 변화를 시사.

▪ LNG선 426척 + 함정 MRO 425조 시장 전망

  • 나이스신용평가에 따르면 2035년까지 미국발 LNG선 426척 발주 예상.
    한국은 2024년 기준 **LNG선 세계 점유율 57.2%**로 글로벌 1위.
  • 글로벌 함정 MRO 시장은 2029년까지 425조 원(2927억 달러) 규모로 성장 전망.
    미국 해군의 핵심 전력인 7함대 MRO를 국내 기업들이 본격 노리기 시작.
  • 한화오션: 유콘호 정비 수주
    HD현대중공업: 군수지원함 MRO 입찰 참여 등 활동 강화

3. 분석 및 시사점

▪ 미국의 ‘우방국 중심’ 공급망 전략, K-조선에 호재

미국의 조선·해운 재건 움직임은 단순한 산업 정책이 아닌, 중국 견제와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위한 전략적 조치입니다.

이 과정에서 신뢰할 수 있는 동맹국이자, 기술력이 검증된 한국 조선업계가 유일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 ‘존스법’ 개정이 현실화된다면?

  • 한국 조선사에 LNG선 중심의 대규모 수주 러시 발생 가능성
  • 군수·함정 부문까지 확장된다면, MRO 사업도 방산 조선 융합 성장축으로 진화

 

▪ 일본을 넘어선 기술 격차, 산업 주도권 전환

과거 7함대 MRO는 일본 기업이 독점하다시피 했으나, 한화·HD현대 등이 실적을 쌓으며 수주 지형이 흔들리고 있음.
이는 K-조선이 단순 상선에서 고부가 국방 조선산업으로 외연을 확장 중임을 보여주는 대목.


4. 전문가 논평

박현준 / 나이스신용평가 책임연구원

“트럼프 행정부의 LNG 및 국방 프로젝트가 활성화될 경우
한국은 상선·함정·MRO 전방위에서 중장기 성장 기회를 확보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김도형 /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과거 방산은 미국 내 완전 자국 중심이었지만,
최근엔 동맹국 중심의 위성화 전략으로 변화 중입니다.
이는 한국 조선업계에 국방 인프라 분야까지 문을 여는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5. 결론

한국 조선업계는 기술력, 신뢰도, 생산능력 모든 측면에서
현재 미국의 해상 패권 재건 전략에 부합하는 유일한 파트너입니다.

미국 내 법 개정이 현실화된다면,
K-조선은 단순한 선박 제조를 넘어 글로벌 안보산업의 핵심 파트너로 도약할 수 있습니다.

이제는 LNG선뿐 아니라 군수·함정·MRO 분야까지 전략적 확장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