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전업계, 구독 서비스로 돌파구 모색
국내 가전업계가 경기 침체와 중국 업체들의 가성비 공세에 대응하기 위해 구독 서비스를 적극 도입하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
- 구독 서비스 확산: 고가의 프리미엄 가전제품을 월 구독료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소비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의 AI 구독클럽을 통해 200만 원 이상의 55형 OLED TV를 월 약 2만 원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 LG전자의 성과: LG전자는 지난해 가전 구독사업으로 약 1조 6,000억 원의 매출을 올렸으며, 이는 전체 매출의 27%에 해당합니다. 2030년까지 이 매출을 6조 원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 삼성전자의 성장: 삼성전자는 지난해 12월 AI 구독클럽을 출시한 이후, 프리미엄 TV 판매에서 구독 비중이 20%에서 올해 2월 50%로 증가했습니다.
출처: 중앙일보
2. 자영업자 폐업 증가로 내수 경제 우려
국내 자영업자 수가 최근 두 달간 20만 명 이상 감소하며 내수 경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
- 자영업자 수 감소: 2024년 11월 570만 6,000명이던 자영업자 수가 2025년 1월 550만 명으로 감소했습니다. 이는 1998년 IMF 외환위기 당시인 560만 명보다 낮은 수준입니다.
- 경기 침체 영향: 내수 침체가 길어지면서 원자재·재료비, 인건비, 임차료, 대출 상환 원리금 등의 부담이 자영업자들에게 크게 작용하고 있습니다.
- 수익 감소: 응답자들은 지난해 순이익이 전년 대비 13.3% 감소했다고 답했으며, 72%가 이에 동의했습니다. 또한, 62.2%는 올해 순이익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출처: 연합뉴스
3. 고려아연-영풍, 경영권 분쟁 재점화로 주가 급등
고려아연과 영풍 간의 경영권 분쟁이 다시 불거지며 양사의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주요 내용:
- 주가 상승: 3월 10일 오전 기준, 영풍은 전 거래일 대비 20% 오른 53만 9,000원, 고려아연은 13% 오른 82만 6,00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 경영권 분쟁: 고려아연은 지난 1월 임시 주주총회에서 영풍의 의결권을 제한했으나, 법원이 3월 7일 이를 부당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이에 따라 이달 말 열리는 정기 주총에서 양측의 의결권 대결이 예상됩니다.
- 영풍의 대응: 영풍은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보유 중인 자사주를 내년 3월까지 전량 소각하고, 10:1 액면분할을 통해 주식 유동성을 높이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출처: 서울경제
논평:
가전업계의 구독 서비스 확대
경기 침체와 중국 업체들의 가성비 공세 속에서 국내 가전업계가 구독 서비스를 통해 새로운 돌파구를 찾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합니다. 소비자들은 초기 비용 부담 없이 프리미엄 가전을 이용할 수 있고, 기업은 안정적인 수익원을 확보하며 고객 충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특히, LG전자와 삼성전자의 구독 서비스 확대는 가전업계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자영업자 폐업 증가와 내수 경제
최근 자영업자 수의 급격한 감소는 내수 경제의 심각한 위기를 반영합니다. 원자재비 상승, 인건비 부담, 임대료 상승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자영업자들의 경영 환경을 악화시키고 있습니다. 정부와 지자체는 자영업자 지원 대책을 강화하고, 소비 진작을 위한 정책을 마련해야 할 시점입니다.
고려아연-영풍 경영권 분쟁과 시장 반응
고려아연과 영풍 간의 경영권 분쟁이 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법원의 결정으로 영풍이 의결권을 회복함에 따라 이달 말 주주총회에서의 표 대결이 예상됩니다. 이러한 경영권 분쟁은 기업 가치와 주주 가치를 훼손할 수 있으므로, 양측의 원만한 합의와 투명한 경영이 필요합니다.nocutnews.co.kr
'국내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뉴스 브리핑] 2025년 3월 12일 (1) | 2025.03.12 |
---|---|
[국내 경제 브리핑] 미국 소비자 평가에서 1위 석권, 구독 서비스로 새로운 성장 동력 확보, 고려아연·영풍 주가 동반 상승(2025년 3월 11일) (3) | 2025.03.11 |
[국내 뉴스 브리핑 | 2025년 3월 9일] (6) | 2025.03.09 |
2025년 3월 8일자 국내 뉴스 | AI·반도체·무역 이슈 정리 (0) | 2025.03.09 |
2025년 3월 6일자 국내 뉴스 | AI·배터리·반도체 산업의 혁신과 도전 (6) | 2025.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