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제 이슈논평

[이슈 논평] 트럼프의 ‘미국 우선주의’ 부활 – 국제 통상 질서는 어디로 가는가(2025년 3월 27일 기준)

by andy169 2025. 3. 27.
반응형

 

1. 개요

2025년 3월 26일(현지시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백악관 산업정책 연설에서

“다시는 미국이 동맹국에게 이용당하도록 두지 않겠다. 미국 산업은 반드시 미국에서 보호받아야 한다.”
고 선언하며 강경한 보호무역 정책 복귀를 공식화했다.

 

이는 2017~2020년의 1차 트럼프 행정부 당시와 유사한 ‘America First(미국 우선주의)’ 노선의 부활이며,
이미 EU, 한국, 일본, 중국 등 주요국과의 통상 긴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2. 주요 내용

▪ 정책 골자

  • 중국·EU산 제품에 최대 30% 관세 부과 검토
  • 미국 내 제조업 복귀 인센티브 강화
  • 자국 기업에 대한 법인세 감면 및 수입 규제 확대
  • 전기차·배터리·반도체 분야에 대한 전략적 보호

▪ 주요국 반응

  • EU: “WTO 위배 가능성 검토 중”… 보복관세 카드 만지작
  • 중국: “국제 무역 규범을 파괴하는 행위… 단호히 대응할 것”
  • 한국·일본: 자동차·반도체 수출에 직격탄 가능성 우려
  • 국제 통상기구(WTO): “세계 무역 질서 흔드는 중대한 조치” 경고

3. 분석 및 전망

▷ 트럼프의 전략은 무엇인가?

  • 미국 내 보호무역주의 정서 강화: 중서부 제조업 유권자 기반
  • 중국 견제: 무역을 안보로 연결해 중국 고립 의도
  • 친환경 산업 중심의 국가 재편 구상: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연장선

→ 이는 단순한 경제정책이 아닌, 지정학+산업+외교가 맞물린 종합 전략이다.

▷ 글로벌 통상 시스템의 위기

  • WTO의 권위 약화
  • 동맹국 간 무역 신뢰 붕괴
  • 각국의 보호무역 및 수출 통제 강화 확산 가능성
  • 글로벌 공급망의 국가 단위 단절 심화 → 비용 증가, 중복 투자

▷ 한국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 한국의 주력 수출 품목(배터리, 반도체, 전기차)이 직접 영향권
  • 미국 IRA 및 CHIPS법의 연장 흐름으로 기존 혜택마저 축소 우려
  • 중장기적으로는 무역 다변화 전략, 전략 품목 내재화, 외교적 협상력 강화가 절실

4. 전문가 논평

조지워싱턴대 국제통상학과 린다 해리스 교수는 다음과 같이 분석했다:

“트럼프의 ‘미국 우선주의’는 다시 국제 질서를 미국 중심으로 끌어당기려는 의도이며,
동맹조차 경쟁자로 간주하는 ‘경제 국수주의’의 부활이다. 이는 협력보다 갈등을 확산시킬 수 있다.”

 

 

**한국무역협회 통상전략실 보고서(2025.3)**에서는

“트럼프의 통상정책 복귀는 한국 수출 산업에 구조적 충격을 줄 수 있으며,
단기적인 방어보다, 외교·산업·금융의 통합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5. 결론 및 시사점

  •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부활은 세계 경제의 협력 중심 질서에 대한 도전장이다.
  • 이는 단순히 미국과 중국 간의 갈등이 아닌,
    세계 각국이 ‘내부 보호’에 집중하는 시대의 본격 개막을 뜻한다.
  • 한국은 이러한 글로벌 재편 속에서
    전략 산업 육성, ▶ FTA 다각화, ▶ 기술 자립도 제고, ▶ 외교적 균형외교 강화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는 국가 전략이 절실하다.

6. 출처

  • 백악관 산업정책 연설문 (2025.3.26)
  • New York Times, Financial Times, The Economist 보도 (2025.3.26~27)
  • 한국무역협회 통상 전략 보고서 (2025년 1분기)
  • WTO 공식 논평 자료 (2025.3.27)
반응형